2024.02.06 (화)

  • 흐림동두천 -3.0℃
  • 흐림강릉 0.7℃
  • 흐림서울 1.6℃
  • 연무대전 0.9℃
  • 흐림대구 4.7℃
  • 구름많음울산 4.3℃
  • 흐림광주 3.8℃
  • 흐림부산 5.2℃
  • 흐림고창 0.4℃
  • 제주 9.7℃
  • 흐림강화 0.8℃
  • 흐림보은 -1.3℃
  • 흐림금산 -1.6℃
  • 흐림강진군 4.4℃
  • 흐림경주시 2.4℃
  • 흐림거제 5.7℃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기후변화 영향 장기생태연구 결과와 발전 방안 논의

점봉산 원시림 탄소흡수 능력 확인, 소양호 및 함평만 생태계 변화 분석

[한국방송/김한규기자]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국립생태원(원장 조도순)은 6월 24일 오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관(서울 성북구 소재)에서 열리는 ‘2022년 응용생태공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기후변화 장기생태연구 결과 공유 및 발전 방안’을 주제로 학술회를 진행한다.

 

이번 학술회는 민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장기생태연구 대표과제 결과를 공유하고 발전 방안을 논의한다.

 

장기생태연구는 기후변화 요인 등 단기 관찰로는 포착이 어려운 생태계 변화를 장기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목적의 연구를 말한다.

 

주요 선진국들은 1980년대 이전부터 연구계획을 수립하여 장기생태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환경부도 2004년부터 점봉산 등지에서 장기생태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학술회의 첫 번째 발표로 이재석 건국대 교수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점봉산 원시림 생태계의 탄소순환을 분석한 결과를 소개한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원시림이 탄소저장소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수령이 150~200년에 이르는 점봉산 신갈나무숲은 1ha 당 1.15톤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 결과는 수령이 150년 이상인 노령의 나무도 탄소를 상당량 흡수하기 때문에 원시림을 보존하는 것이 생물다양성의 확보와 탄소중립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 해외연구 : 숲은 800년이 되어서도 탄소흡수원으로서 기능(과학저널 네이처, ‘08)

 

이어서 김범철 강원대 명예교수는 1980년부터 40여 년간 소양호 생태계 장기변화 조사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이 연구는 소양호 남조류 출현의 주된 결정인자가 과거 인위적 요소에서 최근 기상요건으로 변화했다는 내용을 다뤘다.

 

1990년대까지는 호수내 가두리양식에 따른 인 배출량 증가가 남조류 출현의 주된 원인이었다면, 양식장이 철거된 1999년 이후에는 강우량이 많은 해에 빗물로 인해 유역 농경지에서 유출된 인 부하량의 증가가 남조류 출현의 주된 원인*으로 분석했다.

* 양식장 설치 전(~’86) 소양호 총인(TP) 농도 : 0.01mg/L 미만 → 양식장 설치 후(‘90~’98) 총인 농도 : 0.01~0.02mg/L → 양식장 철거 후(‘99~) : 0.01mg/L 유지 → 대홍수(’06) 소양호 총인 농도 : 0.07mg/L 증가

   

박정수 국립생태원 연구원과 이점숙 군산대 교수는 함평만에서 2004년부터 17년간 수행한 관측(모니터링) 분석결과를 소개한다.

 

함평만 일대의 3월 평균기온이 약 1.7℃ 상승*하면 염생식물인 갯길경의 발아시기**가 약 2개월이나 빨라진다는 분석 결과를 다루고 있다.

* 기상자료 분석 결과 3월 평균 기온이 6.5℃에서 8.2℃로 상승 

** 갯길경 어린식물 최대 출현 시기가 6월(’08, 최초측정)에서 4월(‘21)로 변화

 

끝으로 이효혜미 국립생태원 기후생태관측팀장은 장기생태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 국가 단위로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측하고 예측하기 위한 전국 관측망 확충 청사진을 제시한다.

 

전국 관측망 확충 청사진은 장기생태연구가 현재 특정 지역의 생태지소(점봉산, 한라산, 지리산 등)에서 수행한 현장조사의 한계를 뛰어넘어 전국을 대상*으로 생태계 변화를 자동으로 관측하는 기반시설(인프라)을 설치하여 축적된 정보를 통합·분석하자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 기후대별(온대림, 난대림), 권역별(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제주권)

 

전국 관측망은 기상 관측소 등 다른 기관에서 운영 중인 관측시설과 정보를 연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징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 분석을 통해 생태계 장기변화를 예측하여 선제적인 기후대응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강성구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장기간 축적된 생태계 변화 자료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생태계 건강성 증진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객관적 근거로 활용된다”라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탄소중립 대책을 추진할 때 생물다양성 감소 등 생태계의 건강성이 저해되는 목표간 상충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장기생태연구의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겠다”라고 말했다.

 

   

                                                                                                               꽃대

                                                                 꽃(노란색)과 꽃받침(흰색)

 

기후위기 대응 생태계 모니터링 기반 구축방안()

      

인프라 확충(종합관측소+일반관측소) 및 기관별로 관리·운영 중인 관측시설과 정보 연계를 통한 전() 국가적 기후-생태 영향분석 추진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