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9 (수)

  • 맑음동두천 -0.9℃
  • 구름조금강릉 -0.9℃
  • 구름많음서울 0.7℃
  • 구름조금대전 0.9℃
  • 맑음대구 2.0℃
  • 맑음울산 1.8℃
  • 맑음광주 1.5℃
  • 구름조금부산 2.8℃
  • 맑음고창 0.6℃
  • 흐림제주 4.5℃
  • 구름많음강화 0.6℃
  • 구름많음보은 -0.7℃
  • 구름많음금산 0.0℃
  • 맑음강진군 2.0℃
  • 맑음경주시 1.6℃
  • 맑음거제 2.1℃
기상청 제공

경제

부산시, 「2024년 어업생산동향조사 결과」 생산량 전년 대비 5.6퍼센트(%) 증가

◈ 2024년 부산시 어업 총생산량 전년 대비 5.6퍼센트(%) 증가한 72만 8천 톤, 생산금액은 전년 대비 15.1퍼센트(%) 증가한 2조 1천106억 원으로 집계돼
◈ 시, 안정적인 수산물 공급을 위해 수산자원 증강 및 서식환경 복원 기반을 마련하고 양식 수산물 생산 안정화를 위한 기반시설 적극 지원할 예정

[부산/문종덕기자]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지난해(2024년) 부산시 어업 총생산량이 72만 8천 톤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6퍼센트(%) 증가, 생산금액은 2조 1천1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1퍼센트(%) 증가했다고 밝혔다.

< 2024년 부산시 수산물생산량 및 생산금액(단위: 톤,억원,%) > ※ 자료: 통계청 어업생산동향

구 분

생산량

생산금액

2023

2024

증감률

2023

2024

증감률

전 체

690,339

728,810

5.6

18,341

21,106

15.1

원 양

410,673

479,398

16.7

12,040

15,258

26.7

양 식

38,431

43,397

12.9

329

571

73.4

연근해

238,845

204,564

14.4

5,871

5,214

11.2

내수면

2,390

1,451

39.3

101

63

37.7

 

 

▲원양어업은 47만 9천398톤 ▲해면양식 생산량은 4만 3천397톤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16.7퍼센트(%), 12.9퍼센트(%) 증가했으며, ▲연근해어업(연안+근해어업) 20만 4천564톤 ▲내수면어업 1천451톤으로, 이는 각각 전년 대비 14.4퍼센트(%), 39.3퍼센트(%) 감소했다.

 

< 2024년 부산시 수산물생산량 및 생산금액(단위: 톤,억원,%) > ※ 자료: 통계청 어업생산동향

구 분

최근 5년 평균

2023

2024

전년 대비 증감률

최근 5년 평균 대비 증감률

가다랑어

217,311

201,752

249,196

23.5

14.7

황다랑어

57,837

60,523

56,516

6.6

2.3

눈다랑어

23,144

24,767

21,960

11.3

5.1

오징어류

42,118

31,511

63,156

100.4

49.9

꽁치

5,558

3,107

5,866

88.8

5.5

명태

25,783

28,432

28,999

2.0

12.5

민대구류

7,968

8,201

10,037

22.4

26.0

 

 

해조류 양식(2024년 기준 99.6%) 중 김은 최근 겨울철 고수온에 따른 조기산 김 생산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0.3퍼센트(%) 증가했으며, 미역과 다시마는 작황 호조에 따라 전년 대비 각각 17.7퍼센트(%), 35.8퍼센트(%) 증가했다.

 

올해(2025년) 양식업 생산량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미역 등 해조류 양식의 경우 해황이 안정적이므로 작황이 지난해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고수온 등 기후변화와 가격변동 등 불안 요인도 잠재하고 있다.

 

시는 양식수산물 생산 안정화를 위해 기반 시설(양식기자재, 활성처리제 등) 지원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양식 환경변화 대응력 강화를 위해 고수온 대응 지역 적합 양식품종 개발과 스마트양식 기술 연구 등 양식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주요 양식 품목별 생산동향(단위 : 톤, %)>

구 분

최근 5

평균(A)

2023

(B)

2024

(C)

전년 대비 증감(C/B)

최근 5년 평균 대비 증감(C/A)

김류

17,926

17,591

17,650

0.3

1.5

미역류

10,853

13,118

15,438

17.7

42.2

다시마류

9,011

7,325

9,948

35.8

10.4

파래류

279

129

170

31.8

39.2

가자미류

157

202

146

27.7

7.1

넙치류

124

66

45

31.8

63.8

 

 

한편, 전년 대비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기상악화, 고수온 등으로 인한 자원량 변화, 어황 부진, 고유가가 지속함에 따라 출어 기피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수온의 영향이 점점 확대되고 있어 연근해어업 어종인 고등어 9만 3천542톤, 전갱이류 2만 1천635톤, 멸치 1만 4천762톤 등은 감소했다. 반면, 삼치류 1만 3천64톤, 정어리 5천934톤으로 전년 대비 각각 9.3퍼센트(%), 213.5퍼센트(%) 증가했다.

 

<부산시 주요 연근해 품목별 생산동향(단위 : 톤, %)>

구 분

최근 5

평균(A)

2023

(B)

2024

(C)

전년 대비 증감(C/B)

최근 5년 평균 대비 증감(C/A)

고등어

84,613

94,031

93,542

0.5

10.6

전갱이류

20,399

21,658

21,635

0.1

6.1

멸치

16,398

16,654

14,762

11.4

10.0

삼치류

10,782

11,955

13,064

9.3

21.2

망치고등어

22,776

37,309

9,481

74.6

58.4

방어류

6,963

11,430

7,177

37.2

3.1

갈치

10,648

9,078

6,609

27.2

37.9

정어리

750

1,893

5,934

213.5

691.4

 

 

내수면어업은 생산량 감소, 단가 하락 등으로 2024년 생산량은 총 1천451톤으로 전년(2,390톤)에 비해 39.3퍼센트(%) 감소, 최근 5년 평균 생산량(1,777톤)보다는 18.4퍼센트(%) 감소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왕우렁이 1천92톤 ▲붕어 87톤 ▲잉어 66톤 ▲블루길 61톤 ▲가물치 53톤 등이다. 대부분 어종의 생산량이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내수면 양식으로 생산되는 왕우렁이는 수요감소로 생산량이 전년 대비 43.4퍼센트(%) 감소, 가물치는 8.2퍼센트(%) 증가했다.

 

<주요 양식 품목별 생산동향(단위 : 톤, %)>

구 분

최근 5

평균(A)

2023

(B)

2024

(C)

전년 대비 증감(C/B)

최근 5년 평균 대비 증감(C/A)

왕우렁이

1,134

1,931

1,092

43.4

3.7

붕어

209

128

87

32.0

58.4

잉어

201

98

66

32.7

67.1

블루길

20

63

61

3.2

202.0

가물치

70

49

53

8.2

24.7

재첩

10

49

30

38.8

206.1

 

 

심성태 시 해양농수산국장은 “지난해 원양어업, 해면 양식어업 생산량은 증가했으나 연근해,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고수온 등 기후변화와 자원량 변동 등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라며, “이에 우리시는 부산시민들에게 안정적인 수산물 공급을 위해 수산자원 증강과 서식환경 복원 기반을 마련하고 양식 수산물 생산 안정화를 위한 기반시설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대형선망 조업 사진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