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오창환기자]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3. 10.-4. 4.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34차 이사회에서 우리나라가 제기한 북한의 위치확인시스템(GPS) 신호교란 행위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결정을 채택했다. 아울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이사회 의장 명의의 북한 앞 서한을 통해 북한에 금번 결정을 통보하기로 했다.
※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는 국제 민간항공의 안전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44년 12월 채택된 시카고 협약에 의해 설립된 국제연합 전문기구 / 이사회는 총회에서 선거한 36개 주요 항공 강국으로 구성되며 정책 집행·운영, 협약 부속서 채택·개정, 분쟁 해결 등 국제 민간항공의 규율에 관한 실질적인 권한을 보유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작년에 이어 금번 이사회에서도 위치확인시스템 신호교란 행위의 주체로 북한을 명시적으로 지목하며 북한에 엄중한 경고를 보냈다. 금번 결정에는 ▲시카고협약 및 부속서상 원칙을 위반하는 위치확인시스템 신호교란에 대한 심각한 우려 재확인 ▲북한에서 발원한 위치확인시스템 신호교란 행위에 대한 중대한 우려 표명, ▲북한의 기존 이사회 결정 및 시카고 협약 등에 대한 엄격한 준수 강력 촉구, ▲북한에 재발 방지 보장 요구, ▲이사회 의장 명의 북한 앞 서한 발송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 금번 결정문은 3. 26.(수) 채택되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6개 공식 언어 번역 후 대외 공개 예정
정부는 2024. 10. 2.-2025. 2. 14. 간 북한의 위치확인시스템 신호교란으로 20개 이상 국가·지역의 4400여대 민간항공기가 영향을 받자 이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이사회에 정식 의제로 제기했다. 특히, 정부는 지난해 6월 이사회가 최초로 북한을 위치확인시스템 교란 행위의 주체로 직접 지목하고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결정문을 발표한 지 불과 4개월 만에 북한이 규모나 지속 기간 면에서 더욱 심각하게 국제 민간항공 안전을 위협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차원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다.
※ 과거 2012, 2016, 2024년에도 북한의 위치확인시스템 교란 행위에 대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이사회가 우려를 표명하는 결정을 채택한 바 있으며, 2024년에는 행위 주체가 북한임을 최초로 명시
정부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대표부를 통해 다수 이사국을 상대로 우리 입장을 적극 설명하는 한편, 이사회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의 전문가를 직접 파견해 우리측 조사 결과의 객관성 및 과학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금번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이사회 결정은 반복적으로 위치확인시스템 교란 행위를 자행하는 북한에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차원의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국제 민간항공 안전 측면에서 북한 행동의 위험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공유 및 단합된 대응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앞으로도 북한의 행동을 예의주시하면서 위치확인시스템 신호교란 행위와 같은 도발에 대해 국제사회와의 협력하에 엄중하고 단합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