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일)

  • 구름조금동두천 23.9℃
기상청 제공

뉴스

경남도, 진해신항 예타 통과 위해 지역과 힘 모으다

- 경남도, 관계기관과 지역경제계 등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
- 경남도, 예타 정책성 평가 적극 대응,
- 경남·부산 경제계(상공회의소) 진해신항 예타 조속통과 대정부 공동 건의

[경남/정관영기자]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는 진해신항 조기건설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가 빠른 시일 내에 통과 될 수 있도록 해양수산부창원시지역 상공계와 함께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진해신항의 대규모장기간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전체 사업규모(21선석)는 유지하되 단계별로 예타를 진행할 계획이다이를 위해 금년 2월중 예타를 재신청할 계획이다.

 

경남도에 따르면 근소한 차이로 통과하지 못한 진해신항 예타 통과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tf*를 구성하여 경제성 평가항목뿐만 아니라 정책성평가 항목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해수부부산항건설사무소경남도창원시 등

 

특히 정책성평가 항목은 지역주민지자체 등의 사업 수용성과 사업 적극성으로 점수가 주어지는 것으로 진해신항 조속 건설의 당위성과 공감대 형성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정책성 평가에 대응 할 계획이다.

▶ 1차 예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 및 종합평가 결과 : B/C 0.92, AHP 0.497

* (평가항목) 경제성(35~45%), 정책성(25~40%), 지역균형발전(30~40%) 가중치 부여

AHP(계층화분석법)을 활용, 최종 수치 도출(예타통과를 위해 AHP 0.5이상 획득 필요)

지역경제계에서도 진해신항 예타 통과에 힘을 모우는 모양새다
2021년 2월 4일 경상남도상공회의소협의회와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이 공동으로 진해신항의 조속한 예타 통과와 건설을 요구하는 대정부 건의가 있었다.

 

건의문에는 경남·부산을 비롯한 동남권 경제가 국내외 경영환경과 산업트렌드의 변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지자체와 기업들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전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진해신항 건설은 동남권 지역 경제 회복에 큰 동력이 될 것이고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주장하였으며진해신항의 조속한 예타 통과와 건설을 지역경제계와 지역민의 염원을 담아 건의한다고 밝혔다.

 

경남과 부산 경제계는 지난 동남권 신공항 건설과 부전~마산간 복선전철 전동열차 국비지원 건의 등 주요 현안마다 동남권 상생협력의 뜻을 같이 해왔다.

 

윤인국 미래전략국장은 진해신항에 대한 지역 공감대 형성과 시민의식 제고를 위하여 주민 공청회(설명회), 전문가 포럼 또는 지역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식조사 등 적극적인 활동으로 사업추진 외부여건 평가에 적극 대응하여 진해신항 예타 통과를 위해 적극 지원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진해신항은 경남 진해구와 부산 강서구에 걸쳐 조성된 부산항 신항과 달리 전체 부지가 경남도 행정구역 안에 조성되며경남 역사상 최대 규모(총사업비 12조원 정도)의 국책사업으로 천혜의 입지 여건을 갖춘 경상남도 진해구 연도 서측에 2040년까지 컨테이너부두 21개 선석(최대 25,000teu*급 17피더 48.34km)과 방파제 3.2km, 임항도로 6.01km, 친수시설 337㎡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 : 20피트(6.096m) 길이의 컨테이너 크기를 부르는 단위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서는 진해신항 개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로 생산유발효과가 284,758억 원부가가치 유발효과가 221,788억 원에 달하고, 178,222명의 취업 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종합뉴스

더보기